반응형
- [ 독서/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 📗 ① 삶이 그대를 속이면 분노하라2024-08-31 13:46:21본문 발췌"당신의 삶이 분노할 대상임에도 분노하지 않는다면 이미 당신의 뇌는 썩어 버린 것이다. 차라리 강물에 빠져 죽어 버려라. 하지만 이제라도 삶이 당신을 속인다고 생각되면 그 삶을 던져 버려라. 내동댕이쳐라. 당신이 분노하여야 할 대상은 이 세상이 아니다. 당신의 현재 삶에 먼저 슬퍼하고 분노하면서 'No!'라고 말하라. Say No! 그리고 당신의 삶을 스스로 끌고 나가라. 당신이 주인이다." "현재의 삶이 절망스럽고 괴롭고 암흑에 싸여 있는 것같이 보이는가? 그렇다면 이제 분노하라. 분노를 느끼는 사람만이 닫힌 문을 세게 쾅쾅쾅 두드릴 수 있다. 용수철처럼 그 자리를 박차고 나와 당신의 삶을 이 거친 세상에서 우뚝 홀로 세울 수 있도록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피 튀기듯 노력하라. 그리고 이제는 자..
- [ 게임 개발/개발 일지 ]PROJECT P. 💻 캐릭터 움직임 및 공격 모션 적용2024-04-11 12:38:17요즘 단순한 게임 개발 준비 중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게임을 만들지 아직 결정하지 못한 상태여서, 픽셀 캐릭터들만 만들고 있어요 😅 그래도 계속 구상만 하고 있을 순 없어서(평생 생각.. 고민만 하고 있을 것 같음..) 개발 경험을 늘릴 겸..! 지난번에 만든 밤톨이 캐릭터를 게임 속에 구현해 보기로 했습니다. 😎 지난번에 생성했던 밤톨이 스프라이트를 import하고 애니메이션 스프라이트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 봤어요! 다행히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 밤톨이 스프라이트 구경하고 싶다면 지난 발행글을 눌러주세요 :)!! 픽셀 캐릭터 🎨 01. 밤톨이 스프라이트 탄생 계기 2024. 03. 19.부로 천천히 도트 게임을 만들기로 다짐했다. 그래서 도트 연습을 하기로 마음 먹었는데.. 나의 첫..
- [ 게임 개발/픽셀 아트 ]픽셀 캐릭터 🎨 02. 그린 슬라임2024-03-24 17:16:53스프라이트 탄생 계기 밤톨이와 1:1 전투를 하기 위해서 태어난 슬라임. 프로토타입에서 밤톨이에게 맞기 위해 태어난 불쌍한 슬라임이다.. 콘셉 약함 귀여움 답답스러울 만큼 느림
- [ 게임 기획/기획 문서 ]정책 기획 📝 네트워크 문제 발생 시 처리2024-03-19 20:55:370. 네트워크 문제?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는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네트워크 문제]입니다..! 이전 보다 우리나라의 통신 속도가 비약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과거보다 발생 빈도가 줄었지만, 우리나라가 아닌 해외 유저들은 아직까지도 네트워크 문제를 많이 직면하고 있습니다. 😥 (필자는 해외에서 공부할 때.. 인터넷이 느리고 자주 끊겨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음..) 아무튼, 각설하고 오늘은 모바일 게임에서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기획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하네요. 보통 모바일 게임에서 네트워크 문제는 크게 세 가지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① 서버와 연결 끊김 (게임 진행 중..) ② 백그라운드 → 포..
- [ 게임 기획/UI|UX ]UI/UX 🖼 블루아카이브2024-03-19 19:25:39소개 이번에는 넥슨게임즈의 야심작! 블루아카이브의 UI/UX를 살펴보겠습니다 :) UI/UX 이미지 공유 이전에 블루아카이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드릴게요. 블루아카이브는 넥슨의 자회사인 넥슨게임즈가 개발한 수집형 모바일 게임입니다. 블루아카이브의 총괄 PD인 김용하님은 성공한 오덕후로 게임 업계에서 유명하신 분이죠 (아내분이 유명한 코스플레이어라는.. 🎎 그렇기 때문에 성공할 수 밖에 없던 프로젝트다..!) 블루아카이브도 일부 여성단체의 집단 민원으로 인해 선정성의 이유로 청소년 이요불가 등급으로 조정된... 뼈 아픈 사례가 있었죠.. 😥 게임은 게임일 뿐... 블루아카이브 개발 : 넥슨게임즈 플랫폼 : iOS | iPadOS | Android 엔진 : Unity 장르 : 수집형 RPG / 학원 / 하..
- [ 게임 기획/UI|UX ]UI/UX 🖼 트릭컬 리바이브2024-03-19 17:01:58소개 안녕하세요. 오늘 UI/UX 리서치 대상은 트릭컬 리바이브라는 게임입니다. 한국의 게임 개발사 에피드게임즈에서 개발한 수집형 모바일 게임이에요 😁 귀여운 캐릭터들의 볼을 당기는 연출로 유명한 게임입니다. 여러 덕후?들을 양산하기도 했죠. 사실 트릭컬 리바이브는 트릭컬이라는 게임을 개선하여 다시 출시한 게임입니다. 트릭컬의 수많은 사건 사고 중 가장 기념비적인 사건이라고 본다면... 서비스 오픈 날에 뿌려진 오픈 쿠폰을 무한으로 사용할 수 있던.. 사건이 있겠네요.. 아무튼..! 2번의 섭종?을 이겨내고 새로 출시한 트릭컬 리바이브..! 야심차게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가 이어지길 바랍니다 😊 트릭컬 리바이브 개발 : 에피드게임즈 플랫폼 : 안드로이드 | iOS | iPadOS 엔진 : Unity 장르..
- [ 게임 개발/픽셀 아트 ]픽셀 캐릭터 🎨 01. 밤톨이2024-03-19 00:33:21스프라이트 탄생 계기 2024. 03. 19.부로 천천히 도트 게임을 만들기로 다짐했다. 그래서 도트 연습을 하기로 마음 먹었는데.. 나의 첫 캐릭터 결과물 ^^..! 아직 어떤 게임을 만들지 고민중에 있으나..! 밤톨이를 사용하게되면 좋겠다 ^^..! (그리고 나니 애정이 생기는..!) 추후에 시간적 여유가 생긴다면, 음영도 넣어보고, 약간 부자연스러운 프레임을 수정하여 애니메이션을 더 자연스럽게 만들어봐야겠다. 콘셉 밤톨이 / 더벅 머리 활기참 달리는 걸 좋아함 민첩함 열정적임
- [ 게임 기획/기획 이야기 ]기획 이야기 🕹 좋은 게임 기획서에 대한 고찰2024-02-26 00:42:21※ 이 포스팅은 좋은 기획서에 대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일 뿐입니다!_! ※ 1. '독자'와 '청자'를 고려한 기획서사실 "좋은 게임 기획서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를 내가 내리기는 힘들 것 같다. 이 부분은 개인마다 다르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개인적인 의견으론 기획서 작성의 목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기획서가 좋은 기획서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기획서를 작성하는 목적은 내 생각을 구체화시키고, 개발팀, 아트팀, 연출팀 등 여러 유관 부서에게 발표 혹은 리뷰를 진행하여 상품/프로덕트가 개발되게끔 하는 데 있다. 다시 생각해 보면, 내 기획서를 보는 사람은, 개발자, 원화가, 디자이너, 연출, 애니메이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우리가 기획서를 쓰는 목적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1. 상품이나 기능에 대한 ..
- [ 게임 기획/기획 이야기 ]기획 이야기 🕹 게임 기획서 작성 단계2024-02-25 22:31:071. 게임 기획서는 무엇인가? 게임 기획서는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유관 부서에게 '의도'와 어떤 '방식'으로 게임을 제작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문서다. 주로 기획자가 작성하며, 작성된 기획서를 토대로 개발팀, 연출팀, 원화팀, 디자인팀에게 '발표(Presentation)' 혹은 '리뷰(Review)'를 하며 기획자의 '의도'를 전달하는 '도구(Tool)'다. 회사마다 요구하는 기획서의 '디테일(Detail)'이나, '수준(Level)', '퀄리티(Quality)'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작성해야 한다고 확답을 주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게임 기획서에 대해 다룰 생각이다. 2. 게임 기획서 작성 단계 게임 기획서 작성 단계는 회사마다 상이하다. 지금까지 일해왔던 회사..
- [ 게임 기획/기획 이야기 ]기획 이야기 🕹 게임 기획은 무엇인가?2024-02-25 18:48:161. 게임? 게임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어렵다. 게임을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개인마다 게임에 대한 경험이나 개념이 다르다. (가치관) 게임의 개념은 계속하여 변화/진화하고 이 형태나 개념을 규정하는 것은 힘들다. 개인마다 게임에 대한 경험이나 개념이 달라 규정하기 힘들다. 나도 스스로 게임의 정의를 내린 적은 있으나, 이걸 포스팅에 기재하며 정의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게임은 지속적으로 진화해 왔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가 없던 시절의 게임은 지금과는 완전 다른 형태였다. 몸을 쓰는 게임에서 의자에 앉아 혼자 즐기는 게임으로, 혼자에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다 같이 즐기는 게임으로, 그리고 지금은 VR 기기와 같은 고도화된 기기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게임을 즐..